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2 요즘 들어서 니체의 사상이 재조명되는 이유와 허무주의 요즘 들어서 니체의 사상이 재조명되는 이유와 허무주의 니체.. 헤겔 이후 유럽 철학에서 니체만큼 막대한 영향을 끼친 철학자는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과거에 니체가 요즘에 와서 새롭게 조명이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현대 사회는 다양한 영역에서 도전과 변화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4인가구인 핵가족조차 이젠 옛말로 되어가고, 1인 세대 비중이 늘어가며 자유로운 생활 및 의사결정이 점점 더 쉬워져 가며 개인주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개인이 조직으로부터 분리되고 독자성을 얻으면서 이제는 내가 어떤 조직문화에 얼마나 잘 흡수되느냐, 사회생활을 얼마나 잘하느냐가 아니라, 나 한 명이, 나 개인이 어떻게 잘 살아가느냐가 화두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개인이 많은 중요성을 갖게 되고, 결정권을 갖게 되면 모.. 2023. 11. 11. 당뇨병과 인슐린 저항성의 원인 현대인을 위협하는 당뇨 당뇨병학회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30세 이상 당뇨병환자가 600만 명에 육박한다고 하고, 당뇨병 고위험군은 1500만 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지난 10년새 2배 가까이 환자가 증가한 셈입니다 또 고령자들이 아닌 성인층의 당뇨병 유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지난 10년간 한국인에게 있어 가장 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으로 자리 잡고 있어, 국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점점 설득력을 얻고 있는 추세입니다 당뇨병이란 무엇인가? 당뇨병은 말그래도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의 병입니다 정상적인 경우에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으로 소변으로 당이 넘쳐흐르지 않게끔 혈당이 조절이 됩니다 이러한 '인슐린'이 모자라는 상태가되면 '1형 당뇨병'이라 합니.. 2023. 11. 10. 5차방정식에 답이 없는 이유 방정식이란 무엇인가? 방정식이란 미지수가 있는 등식을 말합니다 방정식을 푼다는 것은 x인 미지수의 답을 찾는 것입니다 지금 저의 블로그에는 포스팅이 40개가 있는데, 100개를 채우기 위해서는 몇 개의 포스팅을 더 작성해야 할까요? 이를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40+x=100이 됩니다 우리를 거울에 비춰보면 우리의 상은 반대 성질이 됩니다 우리의 오른손과 왼손이 서로를 거울에 비친 상이 된다는 것을 우리는 경험으로 알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좌변에 있는 양수(+) 40을 우변으로 이항 해주면 40이 반대의 성질을 갖는 음수(-) 40으로 변화합니다 그러면 x=60이 되면서 x의 답이 나오는 것이지요 이처럼 우리는 대칭이라는 속성을 이용하여 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은 경험적으로 대칭에 .. 2023. 8. 10. e=mc^2 당신이 무거운 이유는 쿼크때문이다 e=mc^2 당신이 무거운 이유는 쿼크때문이다 E=mc^2 이 수식을 그대를 해석하면 말 그대로 에너지는 질량과 빛의 속도를 값이라는 뜻입니다 아인슈타인은 이 공식을 발표하면서 '질량'과 '에너지'는 서로 같다고 말했습니다 이것이 사실일까요? 저의 몸무게는 60kg입니다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저라는 인간도 결국 원자로 이루어졌으니, 원론적으로 생각해봤을때 저의 '몸'을 이루는 모든 원자의 합이 60kg라는 의미로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원자란 무엇일까요? 원자란 이렇게 양성자(+)와, 전자(-)로 이루어진 것을 원자라 합니다 그렇다면 이게 끝일까요? 아닙니다 전자는 쪼갤수 없지만 양성자를 쪼개면 쿼크라는 더 작은 입자가 나온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애기하면 우리 몸을 이루는.. 2023. 8. 10. 불교의 태동 힌두교 '범아일여(梵我一如)'사상의 다음단계 불교가 탄생한 배경 힌두교에서는 우주자아 브라흐만(Brahman)이 있고 개별자아 아트만(Atman)이 있는데 이 개별자아인 영혼(soul)에 업(karma)이 붙어있어서 계속 몸을 바꾸며 윤회한다고 믿습니다 몸은 죽어도 이 아트만은 죽지 않으니, 힌두교의 경전인 바가바드기타에서는 이 아트만을 '영원불멸하며, 칼로도 벨 수 없고, 불로도 태울 수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개별자아인 아트만이 사실 브라흐마(창조주)의 분신이므로 본질이 같기에 수행을 하여 카르마를 정화시키면 아트만이 다시 브라흐만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사실 '나'인 아트만과 '세상'인 브라흐마가 하나라는 의미가 '범아일여(梵我一如)'사상인것입니다. '나'가 명상 같은 수행을 통해 '참나'를 찾으면 '나'와 '남', '나'.. 2023. 8. 9. AI가 계속 발전해도 블로그의 타격은 없다 결론을 먼저 말하면 AI가 계속 발전해도 블로그의 타격은 없을것이다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하면서 AI가 잊힐만하면 지속적으로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CHAT GPT의 등장 이전으로 제가 가장 기억에 남았던 사건은 알파고였던 것 같습니다 7년 전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의 5회의 걸친 바둑 대결은 많은 사람들에게 큰 이슈를 낳았고, 인공지능 기술이 사람을 넘어섰다는 해석과 평가를 내릴 정도의 사건이었던 것 같습니다 또 CHAT GPT와 더불어 영상분야에서 활약하는 인공지능 기술인 딥페이크가 인간의 눈으로 진위 여부를 구별할 수 없는 이미지나, 영상물을 조작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고, 이러한 기술이 너무나 자연스럽고, 벌써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에 또 한 번 충격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2023. 8. 6.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