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기계발/삶과 철학4

엔젤넘버 111,444,777 반복된 숫자를 자꾸만 보게 되는 이유 엔젤넘버 111,222,333 같은 반복된 숫자를 계속 보게 되는 이유 몇 년 전부터인가 무심코 시계를 볼 때 3:33이든지, 4:44를 보게 되어 무척 의아하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다 그때 당시에는 그저 우연이라 치부하고 별로 신경 안 쓰고 있었는데, 요즘 들어서는 222,333,444를 포함해서 1시 11분이던지, 심지어 11시 11분인 1111까지 연속적으로 나열된 숫자를 마주치게 되는 빈도수가 점점 늘어났고, 차를 타고 가다 표지판에서 333을 본다던지, 심지어 스마트폰 어플 캐시삭제를 할 때도 111,222,333mb를 삭제하게 되었다. 결국 '이 현상을 도대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라는 정신의 강한 인상이 남게 되었다 사실 필자는 평소에 UFO라던지 미스터리 현상 등 신비적인 현상 같은.. 2024. 1. 31.
인스타그램과 사회학적 지식 인스타그램과 사회학적 지식 우리는 경험적으로 자본주의 사회에 있어서 돈은 우리 삶에 있어서 떼려야 뗄 수 없을 만큼 밀접하고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관심과 돈은 결국 사람들이 모이는 곳으로 흐르기 마련입니다. '욜로, 갓생, 플렉스 많은 사회적 현상이 어떤 맥락에서 탄생했을까?'라는 순수한 호기심 그리고 '사회학적 지식을 획득한다면 돈을 버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는 의문으로 저의 생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대표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들이 하는 SNS인 인스타그램 피드를 보다 보면 유독 눈에 자주 띄는 현상이 있는데, 예를 들면 이런 것입니다. 찜통 같은 더위에 대한 불평섞인 코멘트가 해외 5성급 호텔 수영장에서 수영복을 입고 찍은 모습과 함께 사진으로 공유됩니다. 이런 피드를 보.. 2024. 1. 17.
2023 11.10 금요일의 사색 철학이란 삶을 대하는 자세를 정립시키는 것이다 동양도 옛날에는 많은 사상가들이 철학을 설파했으나 현대에 와서는 동양에서 철학의 중요성은 외면받고 있다 아마 그저 먹고사는데 급급했기 때문일 것이다 많은 동양국가들은 이미 경제적으로 먹고살만해졌다 앞으로도 쭉 부강함을 유지하고, 배 곪던 시절로 돌아가지 않으려면 동양도 다시 철학을 확립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신의 기준이 정립되지 않는다면 상황에 따라 계속해서 흔들리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흔들리는 것들은 신뢰할 수 없다 책임있는 자세를 보이지 못한다면 신뢰하지 못할 것이고, 곧 자신에게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하면서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는 것 자체가 지나친 욕심이 아닐까? 현대사회에서는 아무리 일을 적게 해도 적어도 굶어 죽을 일은 없다. 우.. 2023. 11. 10.
중도 (中道).. 그리고 감사함 중도 (中道).. 그리고 감사함 최근 들어 매우 고통스럽고, 무력한 시간들을 보내며 블로그 포스팅을 못하고 있었다 언제까지 미룰 수는 없기에 최근에 느낀 점들을 블로그에 기록해보려 한다 영문을 모르고 태어나서 어쩔 수 없이 살아가고 영문을 모르고 죽는다는 것이 엄청나게 답답하게 느껴졌다 이 무지를 타파해야겠다는 마음이 강하게 들며, 삶의 모든 고통의 원인이란 무지란 신념아래 끊임없이 공부를 했지만 나의 삶은 여전히 불만족스럽고 괴로웠다 뭔가 항상 핵심을 비껴가는 기분이었다 나는 나의 꿈을 따라 그러한 모습 이어야 하는데, 왜 지금 나는 이러한 초라한 모습인지.. 꿈과 현실의 갭차이가 너무 괴로웠다 수많은 정신적인 괴로움.. 그렇게 나는 번뇌의 사로잡힌 채 자포자기하여 미래를 향해 단 한 발자국도 나아갈 .. 2023.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