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불교4

'절제' 불교에서 유독 금욕을 강조하는 이유 '절제' 불교에서 유독 금욕을 강조하는 이유수행에 인생을 건 출가자들에게 주어지는 첫 번째 계율은 금욕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불교가 다른 종교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윤리적인 관점에서 성생활을 금하는 줄 안다고 생각합니다. 칸트는 진정한 이성적 존재는 맹목적인 본능을 거부하고 이성적 명령에 복종할 때 비로소 자유롭다고 언급한 바가 있죠 인간은 쇼펜하우어가 말하는 맹목적인 '의지' 즉 본능에 의해 자연스럽게 성욕을 분출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게 돼있습니다그런데 만약 우리가 이런 이성적 통찰을 하지 않고 자연적인 본능에 따라 무분별하게 성적 욕망을 분출한다면,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유일한 특권인 이성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권리를 포기하는 것이겠죠 마찬가지로 불교에서도 이런 윤리적인 차원에서 '성'에 대해 예민한.. 2024. 6. 4.
염신경(念身經) 몸을 염해서 마음을 안주하다 여러분, 노화를 거부하고 되돌리거나, 건강을 얻는 방법을 알고 싶지 않으십니까? 또, 마음의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 항상 행복한 마음이 되고 싶지 않으신가요? 많은 분들이 마음이 괴로울때, 아마 각자마다 다른 대응책이 있으실 겁니다 어떤 분들은 친구들이랑 신나게 수다 떤다거나, 게임을 한다거나, 또 어떤 분들은 운동을 하거나, 여행을 갑니다 어떤 분들은 종교에 의탁해서 믿고 계신 신이 나 성인에게 기도를 합니다 그런데 이런 방법들은 괴로운 상황을 잠시 차단하여 일시적인 마취제 같은 효과는 있지만, 본인이 가진 마음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오늘은 부처님 경전인 염신경을 통해 몸을 건강하게 하고, 마음을 맑게 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게 되면 .. 2024. 1. 16.
불교의 태동 힌두교 '범아일여(梵我一如)'사상의 다음단계 불교가 탄생한 배경 힌두교에서는 우주자아 브라흐만(Brahman)이 있고 개별자아 아트만(Atman)이 있는데 이 개별자아인 영혼(soul)에 업(karma)이 붙어있어서 계속 몸을 바꾸며 윤회한다고 믿습니다 몸은 죽어도 이 아트만은 죽지 않으니, 힌두교의 경전인 바가바드기타에서는 이 아트만을 '영원불멸하며, 칼로도 벨 수 없고, 불로도 태울 수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개별자아인 아트만이 사실 브라흐마(창조주)의 분신이므로 본질이 같기에 수행을 하여 카르마를 정화시키면 아트만이 다시 브라흐만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사실 '나'인 아트만과 '세상'인 브라흐마가 하나라는 의미가 '범아일여(梵我一如)'사상인것입니다. '나'가 명상 같은 수행을 통해 '참나'를 찾으면 '나'와 '남', '나'.. 2023. 8. 9.
알아차림(사띠) 정신으로 감정을 통제하자 알아차림(사띠)이란? 알아차림은 고대 인도어인 빠알리어 사띠(sati)의 번역어입니다 어떤 대상을 인식하는 것과 정신을 차리다는 의미가 결합된 말입니다. 알아차림은 자기 스스로가 '나'의 객관적인 관찰자가 되는 것입니다 알아차림에 기원은 불교수행자들이 수행을 시작할 때 자기 자신에 대하여 자각하기 위해 시작된 것입니다. 우리들은 자기 계발을 왜 하는 것일까요? 더 건강해지기 위해서, 더 매력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서, 더 많은 힘과, 지식을 가지기 위해서,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서 등등 이유는 가지각생이지만 결국 그 끝은 자아실현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우리는 최종 목표인 자아실현을 위해서 자기 계발을 합니다 어느 한 사람 정확히 똑같은 사람이 없는 것처럼 사람은 누구나 태어날 때부터 자신만의 고유한 사.. 2023. 4.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