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항시 생각, 감정, 감각을 느낀다. 그리고 그중 쓸모 있는 것을 세포를 통해 '기억'으로 만들어 반복적으로 재활용한다
고작 약 1.5kg의 무게로 80%의 물과 약간의 지방과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는 '뇌'라는 평범해 보이는 물질이 어떻게 이러한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지 놀라울 따름이다
뇌의 핵심적인 요소는 1000억개 가량이된다는 뉴런들끼리의 '상호작용'이라고 볼 수 있다
뉴런들끼리 상호작용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시냅스'라고 부른다. 뉴런하나에 1000가지의 시냅스가 뻗어있다고 가정하면, 얼추 사람 뇌 속엔 대략 100조 개의 시냅스가 존재하게 될 것이란 계산이 나온다
- 뉴런은 전기 신호로 정보를 주고받고
- 심장세포는 전기적 활동으로 심장박동을 만들고
- 근육세포도 전기 자극을 통해 수축한다
세포에는 반도체처럼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있다
이온의 이동은 물리시간에 배우듯 전류와 동일한 개념이다
단, 반도체처럼 실리콘 기반의 회로는 아니고, 이온과 단백질 채널을 이용한 '생체 전류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세포 내부 또는 외부에 전극을 설치하고 전압을 걸어 전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그 전하의 흐름을 추적한다
특정채널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른 채널을 약물로 막아두고 측정하면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전류 | 전자(e⁻) | 이온(Na⁺, K⁺, Ca²⁺ 등) |
게이트/스위치 | 트랜지스터 | 이온 채널, 이온 펌프, 리간드/전압 게이티드 채널 |
회로 제어 | 전압, 논리회로 | 막 전위, 리간드(신호물질), 전압 변화 등 |
전류 흐름의 통제 | 고/저 전압 스위칭 | 채널 열림/닫힘 조절 (전압, 신호전달) |
대표적으로 2가지 방식이 존재하는데, 위에 말했듯 미네랄이온과 단백질 채널을 이용한 '생체 전류 시스템'이 있고 도파민이나, 세로토닌, 아세틸콜린 같은 '신경전달 화학물질'을 활용한 방식이 있다
2023.04.25 - [origin/음양오행] - 음양오행 이론 한방에 이해하기
모든 것은 결국 음양원리로 돌아가고 있고, 이것은 생명체 역시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동양철학은 과학적 배경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이 복잡한 이론들을 거시적인 해석으로나마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을 뿐이지, 제대로 된 스승을 만나 공부하게 된다면 마냥 허무맹랑한 소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준비가 돼있거나 애정이 있는 사람들 한태는 보다 세세히 알려주려 하겠지만, 가르치는 사람입장에서도 수준차이가 너무 나면 미네랄이나 이온, 나트륨 펌프나 atp시스템을 들먹이는 것보다 차라리 음양의 큰 그림을 그려주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기도 하다
어떤 분야에 선생이든 일단 싹수(재능)보다는 인성을 근본으로 보는 것은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1. 전압을 통한 이온채널 스위치
2024.05.07 - [과학/생리학] - 생명체의 공통 화폐 달러 ATP The common currency of life is the dollar
이 펌프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나트륨 칼륨펌프 시스템이다
나트륨 칼륨펌프는 세포의 대표적인 전기스위치라고 볼 수 있다. 참고로 필자가 예전부터 누누이 저염식의 위험성을 강조한 바가 있었는데, 아무래도 요즘 사람들은 과학적인 용어만 팩트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최대한 시대를 반영하여 글을 쓰고자 한다
2024.06.21 - [과학/생리학] - 저염식의 위험성 심신의 중도(中道) 2024.06.16 - [과학/생리학] - 저염식의 위험성 이소룡 사망원인은 소금 부족으로 인한 뇌부종 |
나트륨, 칼륨펌프는 생명활동의 가장 기초가 되는 신경전달 부분에서 기저에 깔린 근간이 되는 작용이고, 만약 생명체의 소금이 부족하게 된다면 이러한 신경전달이 제대로 될 리가 만무하다. 작동기전은 세포의 상호작용에서 전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차이가 나게 되면 채널이 열리고 닫히면서 하는 식이다. 신경세포에서 Na⁺ 채널이 열려 전기 신호(활동전위)를 만듦
예 : 전압 변화 → Na⁺ 채널 열림 → Na⁺ 유입 → 더 큰 전압 변화 → 다음 채널 열림 → 전기 신호 전파
2. 신경전달물질 채널
- 특정 화학물질(예: 아세틸콜린,도파민,세라토닌)이 채널에 붙으면 열림.
- 주로 신경전달물질에 반응해서 근육이나 다른 세포가 반응하게 함.
결론 : 펌프와 채널 조합, 유기체 시스템이 훨씬 복잡함
- Na⁺-K⁺ 펌프 : 세포막 전위 유지
- 전압채널 : 트리거 조건에 따라 열림
- 신경전달물질,호르몬 채널 : 특정 상황에서만 작동
이런 조합으로 세포는 "조건부 반응", "흥분-억제", "정보 저장" 등 복잡한 기능 수행한다
'과학 > 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에좋다는 MSM식이유황의 효능과 부작용 권장량, 복용법 (0) | 2025.01.20 |
---|---|
저염식의 위험성 심신의 중도(中道) (1) | 2024.06.21 |
저염식의 위험성 이소룡 사망원인은 소금 부족으로 인한 뇌부종 (1) | 2024.06.16 |
크레아틴 효과와 부작용 탈모 크레아틴 복용법 로딩 (1) | 2024.05.28 |
생명체의 공통 화폐 달러 ATP The common currency of life is the dollar (2) | 2024.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