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

2025년 최저시급, 정부지원금 복지혜택 대상확장

by 카페인 뱀파이어 2025. 1. 14.
반응형

좋은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2025년부터는 최저시급이 작년대비 170원 인상하여 10,030원이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2025년부터는 더 많은 사람들이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중위소득 기준이 올해부터 크게 오르기 때문입니다

중위소득 기준이란 우리나라 국민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가정했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값을 의미합니다

 
 
중위소득 기준이 높아지면 더 많은 사람들이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겠죠^^
 

2025년 최저시급, 정부지원금 복지혜택 대상확장

 


 

2025년 정부 정책확장으로 인해 생계급여 지원대상은?

이번 연도부터는 보다 많은 저소득계층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된다고 합니다
정책확장으로 인해 7만 1천여 명의 새로운 사람들이 지원대상으로 선정될 것이라 사료됩니다


1. 근로장려금 가구 소득 기준 확대


2025년부터는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맞벌이가구의 소득기준이 3,800만 원에서 4,400만 원으로 확장된다고 합니다
앞으로는 젊은 세대들이 결혼으로 인해 복지혜택 수급이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올해부터 정책이 완화됨으로 인해 저소득 맞벌이가구의 실질적인 가정소득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2. 생계급여

원래대로라면 4인 가구 기준 183만 3572원에서 195만 1287원으로 확대되어 약 12만 원을 더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요즘 같은 경우 1인 가구가 많은데요, 1인 가구 기준으로는 71만 3102원에서 76만 5444원으로 5만 원 정도 인상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생계급여 수급 대상 또한 늘어난다고 하는데요, 2025년 부터 약 7만 명의 새로운 저소득층이 생계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3. 의료급여

건강생활유지비가 월 6천 원에서 2배 높아져서 1만 2000원이 되었다고 하네요
 

4. 교육급여

교육활동지원비 또한 5% 정도 인상되어 초등학생은 48만 7천 원, 중학생이 67만 9천 원, 고등학생은 최대 76만 8천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2025년부터는 더 많은 사람들이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 것뿐만이 아니라, 그동안 불필요하게 높았던 기준도 완화된다고 합니다. 어떤 것들이 있는지 마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앞으로는 저소득계층의 재산이 과도하게 잡히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서 2,000cc, 500만 원 미만인 차량을 가지고 있다면 차량가액의 4,17%만 월 소득으로 환산된다고 합니다
 

2. 노약자 근로소득 공제 기준 완화

 
노약자들의 경제활동을 응원하기 위해서, 추가 공제 적용 대상을 75세 이상에서 65세 이상으로 확대한다고 합니다
65세 이상 연령인 분들은 근로, 사업소득액에서 먼저 20만 원을 공제한 후, 남은 금액에 대해 30%를 더 추가해서 공제를 받을 수 있겠네요
 

3.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원래는 부양의무자는 연 소득이 1억 원이 넘거나 재산이 9억 원이 초과될 경우 생계급여 수급에서 탈락되었었는데요. 2025년부터는 부양의무자 기준을 '연 소득 1.3억 원 또는 일반재산 12억 초과'로 하향 조정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2025년 정부지원금과 복지혜택이 범위가 확장되고 완화되는 사안에 대해서 정보를 전달해 드렸습니다
보다 구체적이고 세세한 내용은 추후 포스팅을 더 할 예정이고, 급하신 분들은 정부 관련 공식채널을 통해 확인 바랍니다.

정부24

현재 이용량이 급증하여 접속이 원활하지 않으니 사용량이 감소하는 시간대에 이용 부탁드립니다. 빠르게 정상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리게 되어 대단히 죄송합

www.gov.kr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며 이만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